4. 통장에 목적에 맞는 이름을 붙여라
펀드에 가입하기 전 재무설계를 짜는 것과 함께
반드시 생각해야 할 문제가 있다.
바로 투자 목적이다.
설계가 끝나면 목적별로 자금 마련 계획을 세우고
그에 맞는 금융상품을 고르는 것이 투자의 절차이다.
큰 틀에서의 자산 배분과 보다 세부적인 투자 자산을 포함한
포트폴리오도 이 과정을 거치며
자연스레 틀이 잡힌다.
재무설계를 중심으로 굵직한 투자 목젹별로 포트폴리오를 짜 보자. 투자 목적에는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누구에게나 중요한 사안만 열거하더라도 결혼 비용 마련과 보다 적극적인 투자를 위한 종자돈 마련, 노후 대비와 내 집 마련 등 새내기 직장인이 준비해야 할 일들이 적지 않다. 결혼을 곧 앞둔 새내기라면 자녀를 위한 투자도 포함되어야 한다. 투자 목적을 정한 다음에는 펀드로 굴리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먼저 따져봐야 한다. 1년 이내로 단기운용을 해야 하는 자금이면서 손실이 발생하면 상당히 곤란한 경우라면 예금이 적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목적에 따라 적합한 투자 기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운용 기간도 여기서 자연스럽게 결정된다. 뿐만 아니라 월 소득 중 적당한 투자 자금이 얼마인지 그리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 수익률이 얼마인지도 가려진다.
펀드로 운용해야 할 자금이 걸러지면 어떤 펀드가 적합한지를 생각해야 한다. 사안에 따라 공격적으로 운용해야 할 자금이라면 주식 편입 비중이 높은 펀드나 성장주를 중심으로 운용하는 펀드가 적합하다. 반면 기대 수익률이 낮더라도 안정적으로 운용해야 하는 자금이라면 가치주펀드나 채권혼합형펀드, 글로벌자산배분펀드 등 '튀지 않는' 상품이 어울린다. 이밖에 목적과 자금의 성격을 근간으로 최적의 투자 지역이나 자산을 찾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변동성이 큰 이머징마켓이나 원자재 관련 펀드가 적합한 상품인지 아니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선진국 시장에 묻어야 할 자금인지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 종자돈을 모으기 위한 투자자금이라면 일정 부분을 럭셔리 펀드나 리츠펀드 등 섹터펀드에 가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투자자 중에는 모든 펀드가 이색펀드 일색이거나 부지불식간에 특정 지역 펀드에 '몰빵'을 한 이들이 있다. 목적이 없었기 떄문이다. 첫 단추부터 원칙있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며, 잘못된 과정은 운용 결과에 나타날 수밖에 없다.
투자자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 단박에 높은 수익률을 내는 단순한 재테크가 아니다. 투자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인생의 장기적인 목표를 실현하고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있다. 특정 펀드에 가입하기 전에 인생을 설계하고 투자 목적을 분명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제 펀드 통장에 목적에 어울리는 이름을 붙여보자.
- Money Week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펀드투자 10계명 - 6 (0) | 2010.09.26 |
---|---|
성공하는 펀드투자 10계명 - 5 (0) | 2010.09.26 |
성공하는 펀드투자 10계명 - 3 (0) | 2010.09.26 |
성공하는 펀드투자 10계명 - 2 (0) | 2010.08.24 |
성공하는 펀드투자 10계명 - 1 (0) | 201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