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웃는 게, 웃는 게 아닌 심정을 당신은 진심으로 아시나요? 웃음이 눈물이고, 눈물이 웃음이었던 절박한 생을 태산처럼 밀고 간 어떤 사람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실망과 근심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절망에 빠지지 않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탈출구는 철학이나 유머에 의지하는 것이다.”
세기의 희극배우 찰리 채플린이 한 말입니다. 헐렁한 바지에 슬프도록 큰 낡은 구두를 신고 지팡이를 빙빙 돌리며 자박자박 걸어가는 짧은 콧수염의 찰리. 그의 희망은 오직 웃음이었습니다. 머리에 겨우 얹힌 중산모처럼 언제 어떻게 바닥으로 떨어질지 모르는 위태로운 시간들을 그는 유머로 건너갔지요. 웃는 게, 웃는 게 아닌 심정으로……. 그리고 그는 다시 말합니다.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그래서 채플린은 모두에게 위대했습니다. 멀리 보면 다 희극이라는 그의 말이 절망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소중한 생명이 되었습니다.
채플린의 유년은 ‘런던의 가난’ 그 자체였습니다. 한 때는 다재다능한 배우였지만 술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찰스 채플린, 뮤직홀 배우였지만 목소리에 이상이 생겨 그만두고 결국에는 정신질환을 앓아야 했던 어머니 해너 채플린, 어머니가 중년 남자와 아프리카로 사랑의 도피를 벌여 낳은 이복형 시드니 그리고 참혹한 가난. 그것이 찰리의 유년이었습니다. 그 막막함에도 유일한 위안이 있었다면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배우의 기질이었지요.
아역배우로 일하면서 겨우 끼니를 이어가던 채플린은 다섯 살 때 첫 무대에 섰고, 열 살 때 극단에 들어가 연기 경험을 쌓았습니다. 열일곱 살 무렵 영국 최고의 인기 희극극단 프레드카노 극단 단원이 되었고, 1912년 미극 순회공연 중 영화제작자 M. 세네트의 초청을 받아 할리우드에 입성합니다. 절망을 절망하지 않았던 다섯 살 희극배우의 신산했던 삶의 문이 열리고 드디어 신세계를 향해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영화제작자 세네트가 찰리에게 말했습니다. “아무거나 좋으니 우스운 분장을 하고 나와 보게.” 그때 채플린은 부조화스러운 것을 생각했고, 그 결과가 우리가 채플린의 상징처럼 알고 있는 바로 그 모습입니다. 그것을 보고 포복절도하는 세네트에게 찰리는 인물에 대한 설명을 합니다. “이 인물에 대해 설명드릴 것 같으면, 정말 다재다능한 사람입니다. 뜨내기 이면서 신사, 시인, 몽상가인가 하면 외톨이이기도 하죠. 항상 로맨스와 모험을 꿈꿉니다. 그리고 남이 자신을 과학자, 음악가, 공작, 폴로 선수로 알아주었으면 하지요.
그렇지만 겨우 한다는 짓이 담배꽁초나 주워 피우거나 아이들 코 묻은 사탕이나 뺏어 먹는 거예요. 그리고 가끔이기는 하지만 화가 머리끝까지 오르면 부인의 궁둥이도 서슴지 않고 걷어찹니다.” 위대한 찰리가 막 탄생하는 순간입니다. 부조화의 절묘한 조화, 풍자와 해학의 정신이 깃든 쓸쓸한 ‘뜨내기’의 출현으로 우울과 절망에 빠져있던 전 세계가 열광을 하게 됐습니다. 이제 그는 세상을 향해 당당하게 말합니다. “내 이름은 찰리!”라고.
그 이후 찰리는 백만장자가 되었습니다. 1914년 그의 첫 영화가 개봉된 뒤 수십 편의 영화를 스스로 제작합니다. 그 모든 성공에 대해 찰리는 “황홀하고도 쓸쓸한 인기”라고 했습니다. 찰리의 성공을 만들어주었던 미국은 돌연 그에게 공산주의자라는 오명을 씌었고, 그 비난을 견디다 못한 채플린은 미국을 떠나 스위스에 정착합니다. 그곳에서 자손들과 여생을 보내다가 1977년 12월 25일 수면 중에 사망합니다. 예수의 탄생과 찰리의 죽음. 그는 생의 마지막까지도 기막힌 연기를 한 것 같습니다.
1889년 4월 16일 ~ 1977년 12월 25일
“완벽한 사랑은 우리가 겪는 모든 좌절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더할 나위 없는 어떤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찰리 채플린